하얀남자의 일상
해미성지 본문
속칭 "해뫼"라 일컬어지는 해미 고을은 역사적으로 조선 초기에 병마 절도사의 치소를 둔곳으로서
조선 중기에는 현으로 축소 개편된 진영에 1400-1500여 명의 군사를 거느리는 무관 영장이 현감을 겸하여
지역 통치를하던 곳이다. 내포일원의 해안 국토수비를 명목으로 진영장은 국사범을 독자적으로 처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이렇다 할 국토 수비의 전공 기록을 남긴 바 없는 해미 진영은, 1790년대부터 1880년대에 이르는 100년간,
천주교 신자들을 국사범으로 대량 처형한 오명만을 남기고 있다.
이 기간 동안 한국 천주교회사에 있어서, 대박해의 때로 기록된 1801년 신유박해, 1839년 기해박해,1846년 병오박해,
1866년 병인박해 등, 조정의 천주교 탄압을 공식화 할 때 외에도 해미 진영은 지속적으로 내포 지방의 천주교 신자들을
잡아들여 죽였다.
병인 대박해 때에만도 조정에 보고된 해미 진영의 천주교 신자 처결의 숫자가 1천여 명으로 기록되고 있는데,
그 이전 80여 년 간에 걸친 해미 진영의 지속적인 천주교 신자 처결의 숫자는 수천명일 것으로 추정하지 않을 수 없다.
[해미성지 홈페이지에서]
해미는 공주 감영에서 멀리 떨어져 있던 탓에 한국 행형사(行刑史)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남형(濫刑)이 자행되었다.
사람의 머리를 쇠도리깨로 치거나 큰 형구돌 위에 머리를 놓고 쳐서 죽이는 자리개질이 있었고,
사람의 머리를 누인 뒤에 대들보 형틀을 내리쳐 한 번에 여러 사람을 죽인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가장 혹독한 것은 생매장이었다.
생매장은 천주교 신자들에게만 가해진 특이한 방법으로, 각지에서 체포되어 온 신자 수가 너무 많아 일일이
참수하기가 어렵게 되자 지방 관아에서 제멋대로 행한 것이었다. 해미의 경우를 보면, 읍성에서 조금 떨어진
조산리(造山里) 숲 속으로 끌고 가서 구덩이를 파고 신자들을 산 채로 묻어 버렸다고 한다.
이 사실은 훗날 여러 사람의 증언을 토대로 조사가 진행되었고, 1935년 4월 1일에는 마침내 그 현장이 발굴되었는데,
당시의 상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병인년 해미에서 있은 대박해의 진상은 벌써 70년이나 되는(1935년 현재) 옛적 일이므로 소년이나 청년 중에는
그런 일을 아는 사람이 하나도 없었다. 그러나 다행히 노인 몇 분이 아직 생존하여 보고들은 바를
자세히 말해 주었으므로, 틀림없는 역사를 발견하여 천주의 영광과 치명자의 승리를 전하게 되었다.
노인들의 증거에 따라서 모든 사정을 자세히 조사한 후, 금년(1935년) '조산리'에서 치명자의 유해를 찾게 되었다.
그런데 교우들을 묻어 죽인 구덩이 속의 흙이 썩은 것을 보면 의심없이 몇 십명이 되나, 아직 남아 있어
수습된 유해는 10여 명 가량밖에 안 된다. 병오년(1906년) 큰물에 봉분이 다 없어져서 무덤의 형적은 보이지
아니하였지만, 증인들의 가르침에 따라 똑똑히 안 후에 서산과 해미 관공서의 승낙을 얻어 발굴한 결과
유해를 많이 얻게 되었다
("해미 치명자 유해", [경향잡지] 제29권 815호-제30권 822호).
입구에서 오른편 계단을 내려서면 한국여인형의 마리아상이 있다
소성당 입구에 있는 마리아상
작은 피에타상과 십자가
이층으로 오르면 한국식 창호와 스테인드글라스로 벽체가 환한 대성당이 있다.
박해당시 순교의 모습을 그린 민화풍의 순교화가 그 당시 처참함을 보여준다
그 어느 스테인드 글라스 보다도 단순하면서도 아름다운 스테인드 글라스가 성당 내부를 환하게 비추어 준다.
1층의 소성당
아담한 규모에 알맞게 대성당보다는 작고 더욱 정형적인 모습의 스테인드 글라스와 순교화로
벽체가 구성되어 있고...
해미 성지는 1985년 4월에 해미 본당이 창설된 후 해미 순교 선열 현양회를 발족하였고 순교 성지
확보 운동을 전국 신자들에게 홍보하여 꾸준히 모금한 결과, 1998년 말에 생매장 순교 성지를
약 7천 평 확보하였고, 그리고 이어서 1999년 5월부터 3천 명의 회원들로부터 성전 건립 기금을 모아
2000년 8월 기공식을 하였으며 2003년 6월 17일 기념 성전을 건립하여 순교자들의 유해를 모셔놓고 있다.
이렇게 조성된 생매장 순교지 일대는 "예수 마리아!" 기도 소리를 "여수머리"로 알아듣던 곳이
이제는 주민들의 입으로 "여숫골"이라는 이름의 땅이 되어 오늘의 순례자들을 맞이하고 있다.
순교자들의 유해를 모신 유해참배실
내부에는 순교자들이 처참하게 생매장을 당하는 순교화, 모형과 유해 일부가 모셔져 있다.
십자가의 길과 같이 14처로 구성된 순교화
그 당시의 처참한 모습이 생생하다.
생매장터인 진둠벙
생매장형이 시행되면서 여름철 죄인의 수효가 적을 경우에는 사령들이 번거로움을 덜기 위한 방법으로
개울 한 가운데에 있던 둠벙에 죄인들을 꽁꽁 묶어 물속에 빠뜨려 죽이는 수장 방법이 사용되기도 했는데
해미 지역 외인들을 천주학 죄수들을 빠뜨려 죽인 둠벙이라 해서 죄인 둠벙이라 부르고 있었으나
현재는 이름조차도 변해 진둠벙이라 불리고 있다.
교회가 이곳을 순교지로 인식하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농부의 연장 끝에 걸려들어 버려지던 뼈들이
많았다 하는데 이 때 캐어내던 뼈들은 수직으로 서있는 채 발견되었다고 한다.
바로 그것은 죽은 몸이 아니라 살아있는 사람이 묻혔다는 증거이다.
야외 미사
이곳 십자가의 길 14처는 예수님의 고난과 순교자의 고난을 앞,뒤면에 각각 새겨 놓았다.
16m 높이의 해미 순교탑
예수님의 고난을 담은 뒷면의 제3처
무명 생매장 순교자들의 묘
수천 명으로 추정되는 순교자들 중 70여 명만 이 불확실한 이름과 출신지를 기록으로 남기고 있을 뿐,
그 밖의 모두는 이름을 알 수 없는 무명 순교자들이다. 모두가 무명일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순교자들 중
홍주(홍성) 및 공주 등 상급 고을로 이송된 순교자들은 이송 사실과 이름들이 기록으로 남겨진 것으로 보아
그 이송된 순교자들은 해미 진영장의 독자적 처결에 있어서 사후에 문책거리가 됨직한 신분의 사람들이었으며,
해미 진영은 처형 후 문책의 배후 세력을 갖지 못한 서민층 신자들만을 심리나 기록 절차 없이 마구잡이로
죽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야외 성당
'여행, 그 흔적들... > 한국의 성지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주 전동성당 (0) | 2014.11.18 |
---|---|
함박눈에 덮힌 황새바위 성지 (0) | 2014.11.18 |
나바위 성지 (0) | 2014.11.18 |
베티 성지의 이것 저것들... (0) | 2014.11.18 |
베티 성지에서... (0) | 2014.11.18 |